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보건증 재발급방법ㅣ완벽정리

by 바라보기61 2025. 7. 30.
반응형

식당, 카페, 어린이집, 학교급식, 요양병원 등 위생 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은 필수입니다! 그런데 분실했거나 훼손된 경우, 또는 종이 보건증을 재출력하고 싶은 경우가 있죠 📄🔍

 

오늘은 보건증 재발급방법에 대해 아주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아래에 글 전체를 요약해 놓았으니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1. 보건증이란 무엇인가요?

1) 정식 명칭은 건강진단결과서

‘보건증’이라는 말은 구어체이며, 공식 명칭은 건강진단결과서입니다. 위생 관련 업종 종사자가 감염성 질환 유무를 확인받기 위해 발급받는 공문서예요.

2) 검사 항목

  • 장티푸스균
  • 결핵
  • B형간염(HBV) 항원
  • 신체 검사(일반 사항)

3) 유효기간

직종에 따라 유효기간이 다르며, 대부분 1년 또는 6개월 내외입니다. 정기적으로 재검진을 받아야 유효한 보건증을 유지할 수 있어요.

2. 보건증 재발급이 필요한 경우

보건증 재발급방법

1) 이런 경우라면 재발급이 필요!

  • 보건증 원본을 분실한 경우
  • 보건증이 젖거나 찢어진 경우
  • PDF 저장이 아닌 출력본이 필요한 경우
  • 병원 또는 고용주가 종이 원본을 요구하는 경우

2) 재검진 없이 재출력 가능한 기간

건강진단을 받은 지 유효기간(6개월~1년) 내라면 재검진 없이 인터넷 또는 방문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3. 보건증 재발급 방법 (인터넷)

보건증 재발급방법

1) G-health 홈페이지 이용

  1. G-health.kr 접속
  2. ‘건강진단결과서 발급’ 클릭
  3.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카카오, PASS 등) 로그인
  4.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조회
  5. 재발급 가능한 보건증 확인
  6. PDF 다운로드 또는 출력 (컬러 프린터 필수)

2) 출력 시 유의사항

  • 컬러 프린터 사용 필수 (흑백은 무효 처리될 수 있음)
  • 출력본 하단 QR코드 확인 필수
  • 원본 효력 동일 (기관에서도 인정)

4. 보건소 방문 재발급 방법

1) 방문 시 필요한 준비물

  • 본인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 수수료 1,500원 내외 (지역마다 상이)

2) 방문 절차

  1. 건강진단 받은 보건소에 방문
  2. 민원 창구에 재발급 요청
  3. 신분증 제출 및 본인 확인
  4. 수수료 납부 후 즉시 재발급

3) 타 보건소에서도 가능할까?

검진 받은 보건소가 아닌 타 보건소에서는 재발급이 불가합니다. 반드시 해당 보건소로 방문해야 해요.

자주묻는질문

1) 재발급 유효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건강검진을 받은 시점 기준으로 유효기간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재발급한다고 해서 기간이 연장되진 않아요.

2) 타인이 대신 재발급 받을 수 있나요?

보건증은 본인만 발급 가능하며, 대리인 수령은 불가합니다.

3) 모바일에서도 발급 가능한가요?

모바일 G-health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브라우저를 통해 로그인 후 PDF 저장이 가능하며, 출력은 PC에서 해야 합니다.

4) 출력본도 효력이 있나요?

공식 사이트에서 출력한 보건증은 QR코드 포함되어 있어 공문서로 인정되며, 종이 원본과 동일한 효력을 가집니다.

요약표

항목 내용
공식 명칭 건강진단결과서
재발급 가능 조건 유효기간 내 재검진 없이 가능
인터넷 발급 G-health.kr
방문 발급 해당 보건소 본인 방문
프린터 컬러 필수

결론

보건증은 간단한 절차만 거치면 인터넷이나 보건소에서 빠르게 재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유효기간 내라면 꼭 재검진 없이 재출력해 활용하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왼쪽 아래 공감(♥)버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보건증 재발급방법
반응형